Share via


주간닷넷 2016년 3월 22일

이번 주에는 많은 개발자의 가슴을 두근거리게 할 마이크로소프트의 개발자 행사인 //Build/ 2016 가 있습니다. 샌프란시스코 모스콘 센터에서 3월30일부터 4월1일까지 개최되는 이번 행사를 라이브로 시청하시려면(한국시간 3월 31일(목) 새벽 00:30) https://build.microsoft.com 을 방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한국에서도 3월31일(목) 저녁 무렵에 “빌드 같이 보기” 행사가 있을 예정입니다. 참가를 희망하시는 분은 https://aka.ms/build2016live 를 통해 등록하시기 바랍니다. 지난 호를 살펴보시려면 주간닷넷 페이지를 방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혼자 알고 있기에는 너무나 아까운 글, 소스 코드, 라이브러리를 발견하셨거나 혹은 직접 작성하셨다면 Gist주간닷넷 페이지를 통해 알려주세요. .NET 관련 동호회 소식도 알려주시면 주간닷넷을 통해 많은 분과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Build 소식

이번 주 수요일부터 시작되는 Build 행사로 저희 팀원들이 샌프란시스코에 머무를 예정입니다. Build 행사에서 많은 분을 뵙고 .NET 의 최신 소식을 전해드리겠습니다. 행사에 직접 참여하지 못하시더라도 생방송으로 keynote 세션을 시청하실 수 있으며, Channel 9 에서 녹화된 세션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김명신 기술 에반젤리스트가 참석하셔서 현장의 발표 내용을 공유 해주실 예정입니다.

On.NET 소식

지난번에는 동영상 인터뷰가 없었습니다. 이번 On.NET 동영상 인터뷰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인 Joyent 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하고 계시는 Richard Kiene 를 모시고 CoreCLR 과 ASP.NET 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개발한 경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금주의 툴 - Octopus Deploy

Octopus Deploy 는 지속 통합(Continuous Integration)과 지속 배포(Continuous Deployment)를 도와주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테스트 서버, 스테이징 서버(국내환경에서는 흔히 QA 서버라도 합니다), 운영서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버에 손쉽게 배포 작업을 수행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하기 편리하여 작은 변경사항도 쉽게 변경하고 좀더 자주 배포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서버 어플리케이션의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 입니다. Octopus Deploy 는 상업용 제품이지만 소규모 팀(5개 이하의 프로젝트로 조합된 결과물을 10개 미만의 서버에 배포하는 경우)에게는 무료로 제공됩니다.

howOctopusFitsIn_vrrp8s

.NET 소식

  • The Sound of .NET : .NET 과 관련된 팟캐스트 목록을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Erik Bergman 이 .NET 에도 적용된 병렬처리에 대해 part 1part 2 에 걸쳐서 설명했습니다.
  • Peachpie – the PHP Compiler for .NET : Benjamin Fistein 이 .NET 용 PHP 컴파일러인 Peachpie 를 소개했습니다.
  • LINQPad.QueryPlanVisualizer : 많은 개발자분들이 개발할 때 LINQPad 를 사용하고 계십니다. Giorgi Dalakishvili 가 쿼리의 실행 계획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LINQPad 의 에드온인 QueryPlanVisualizer 를 소개했습니다.
  • NBench Performance Testing – NUnit and ReSharper Integration : Andrea Angella 가 성능 측정 도구인 Nbench 가 core library 에 포함되었다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또한, NUnit 과 ReSharper 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ASP.NET 소식

F# 소식

  • Building Reactive Services Using Functional Programming : Rachel Reese 가 Lambda Days 2016 행사에서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반응형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을 소개했습니다.
  • .NET Machine Learning: F# and Accord.NET : Alena Hall 이 QCon 세미나에서 다양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는 Accord.NET Framework 를 소개한 후, 예제 문제를 Accord.NET 및 F# 환경에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해결하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 Functional Reactive Programming with NUI : Riccardo Terrell 이 F# 을 이용하여 NUI(Natural User Interface) 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소개했습니다.
  • GPUs and Domain Specific Languages for Life Insurance Modeling : 지난주에 소개되었던 Daniel Egloff 의 GPU 와 DSL을 이용하여 생명보험 업무모델을 개발했던 경험이 NVIDIA 개발자 블로그에도 소개되었습니다.
  • Earthquake Scraping with a Type Provider : Edgar Sánchez 이 F# 의 HTML Type Provider 를 이용하여 웹에서 제공되는 지진계측 자료를 효과적으로 수집하는 예를 공유하였습니다.
  • Functional Architecture is Ports and Adapters : Mark Seemann 가 함수형 언어를 이용하여 업무로직과 기술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분리하는 개념인 Ports 와 Adapters 구조를 쉽게 갖출 수 있음을 설명했습니다.

Games

주간닷넷.NET Blog 에서 매주 발행하는 The week in .NET 을 번역하여 진행하고 있으며, 한글 번역 작업을 오픈에스지닷넷의 송기수 이사님의 도움을 받아 진행하고 있습니다.

song

송 기수, 기술 이사, 오픈에스지닷넷현재 개발 컨설팅회사인 OpenSG의 기술이사이며 여러 산업현장에서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입사전에는 교육 강사로서 삼성 멀티캠퍼스 교육센터 등에서 개발자 닷넷과정을 진행해 왔으며 2005년부터 TechED Korea, DevDays, MSDN Serminar등 개발자 컨퍼런스의 스피커로도 활동하고있다. 최근에는 하루 업무의 대다수 시간을 비주얼스튜디오와 같이 보내며 일 년에 한 권 정도 책을 쓰고, 한달에 두 번 정도 강의를 하면 행복해질 수 있다고 믿는 'Happy Developer'이다.